본문 바로가기
제과제빵. 베이킹

설탕과 소금의 역할에 대해서

by 곰돌릥 2025. 1. 2.

 

설탕의 역할: 단맛 그 이상의 기능

설탕은 단순히 단맛을 내는 것 이상의 역할을 합니다. 설탕의 가장 큰 특징은 제과에서 식감, 색상, 그리고 구조를 형성하는 데 핵심적이라는 점입니다. 설탕은 반죽의 수분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예를 들어, 설탕의 흡습성 덕분에 케이크나 쿠키가 촉촉함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또 설탕은 캐러멜화 과정을 통해 제품에 황금빛 갈색과 풍미를 더합니다. 캐러멜화는 고온에서 설탕이 분해되며 일어나는 화학 반응으로, 이 과정이 없다면 우리가 즐기는 바삭한 쿠키나 갈색 크러스트가 없는 빵이 탄생할 것입니다. 또 설탕은 이스트 발효를 도와 반죽을 부풀게 하는 데에도 기여합니다. 빵을 구울 때 설탕은 이스트의 먹이가 되어 발효를 촉진하고, 부드럽고 공기층이 많은 텍스처를 만들어줍니다. 그리고 보존제 역할도 합니다. 설탕이 많을수록 물의 활성도가 낮아져, 미생물이 번식하기 어려워집니다. 잼이나 젤리와 같은 제품이 오래 보관되는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그리고 설탕은 달걀의 점성을 증가시키고 단백질의 변성을 억제하여 더 안정적인 거품을 형성하도록 돕습니다. 또 설탕의 농도가 높아지면 삼투압 작용으로 식품의 수분을 흡수하고 보수성이 강해서 흡수한 수분을 놓아 주지 않기 때문에 곰팡이나 세균이 번식하기가 힘듭니다. 마지막으로 전분 입자 사이에 분포된 설탕이 전분의 수분 저장을 도와 호화 상태를 지속시켜 줍니다. 그래서 오랜 시간이 지나도 부드러운 상태를 유지합니다. 종류로는 백설탕, 슈가파우더, 비정제설탕이 있습니다. 백설탕은 정제도가 높아 깔끔한 단맛을 냅니다. 입자가 잘 녹고 쉽게 덩어리지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슈가파우더는 백설탕을 곱게 분쇄하고 옥수수 전분을 조금 첨가하여 만듭니다. 설탕으로만 만들어진 제품은 흡습성이 높아 덩어리질 수 있기 때문에 전분이 포함된 제품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비정제설탕은 정제 과정을 거치지 않았거나 비교적 덜 거친 설탕을 의미합니다. 백설탕과 달리 단맛이 깊고 풍부합니다. 당밀 함량, 정제도에 따라 종류가 나뉩니다.

소금의 역할: 감칠맛과 밸런스 조절

소금은 단순히 짠맛을 내는 재료가 아닙니다. 제과에서 소금은 맛의 균형을 잡아주고, 반죽의 구조를 강화하며, 감칠맛을 더해주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가장 먼저, 소금은 설탕의 단맛을 더욱 돋보이게 합니다. 이는 과학적인 이유로, 소금이 혀에서 단맛을 느끼는 감각을 활성화하기 때문입니다. 초콜릿칩 쿠키나 캐러멜 디저트에 소금이 첨가되는 이유도 바로 이런 맛의 밸런스를 위한 것입니다. 또한, 소금은 밀가루 단백질인 글루텐의 형성을 조절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소금이 적절히 첨가되면 반죽이 너무 질거나 끈적하지 않게 되고, 제과의 형태와 질감이 안정적이게 됩니다. 소금은 발효 속도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소금이 없으면 이스트의 활동이 과도하게 빨라져 반죽의 맛이 텁텁하거나 질감이 부드럽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소금은 발효를 억제하여 더 섬세한 맛을 낼 수 있도록 합니다. 소금은 단맛, 신맛, 쓴맛과 어우러지며 감칠맛을 강화시킵니다. 이를 통해, 소금은 제과의 풍미를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조미료 이상의 역할을 수행합니다.  

제과의 핵심 재료

설탕과 소금은 제과에서 각각 고유한 역할을 하지만, 이 둘이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완벽한 디저트가 완성됩니다. 예를 들어, 케이크를 만들 때 설탕의 양이 과도하면 반죽이 너무 부드럽고 끈적여져 제대로 굽기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반면, 소금이 과도하면 빵의 풍미가 지나치게 짜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두 재료의 비율을 잘 맞추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건강한 대체재로 설탕 대신 스테비아나 자일리톨을, 소금 대신 저나트륨 소금을 사용하는 경우도 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대체재는 원재료와 맛, 질감에서 약간의 차이를 낼 수 있으니 신중히 선택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설탕과 소금은 제과 과정에서 단순한 맛 내기 재료를 넘어서는 과학적 역할을 합니다. 이 둘의 적절한 균형을 맞출 때, 제과는 더 맛있고 완성도 높은 작품으로 탄생합니다. 제품을 의도한 대로 만들기 위해서는 이렇게 재료가 갖고 있는 고유의 특성을 이해해야 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레시피를 제작한다면 더 완성도 있는 레시피를 얻을 수 있습니다.